본문 바로가기
network

[데이터 통신] Chapter 10 오류 검출과 오류 정정 연습 문제 & 정답

by FAPER 2023. 6. 14.

1. 다음 중 어느 것이 단일 비트 오류에 대해 가장 잘 설명 하였는가?

a. 단일 비트가 바뀌었다. b. 매 전송마다 단일 비트가 바뀌었다.

c. 매 데이터 단위마다 단일 비트가 바뀌었다. d. 모두 정답이다.

 

2. 어떤 오류 검출 방법이 1의 보수 연산을 사용하는가?

a. 단순 패리티 검사 b. 검사합 c. 2차원 패리티 검사 d. CRC

 

3. 어떤 오류 검출 방법이 데이터 단위마다 하나의 중복 비트로 구성되는가?

a. 2차원 패리티 검사 b. CRC c. 단순 패리티 검사 d. 검사합

 

4. 어떤 오류 검출 방법이 다항식을 포함하는가?

a. CRC b. 단순 패리티 검사 c. 2차원 패리티 검사 d. 검사합

 

5. 만약 ASCII 문자 G를 전송했는데, 문자 D를 수신하면, 이것은 어떤 종류의 오류인가?

a. 단일 비트 오류 b. 다중 비트 오류 c. 폭주 오류 d. 회복가능 오류

 

6. 만약 ASCII 문자 H를 전송하고, 문자 L을 전달받았다면, 이것은 어떤 종류의 오류인가?

a. 폭주 오류 b. 회복가능 오류 c. 단일 비트 오류 d. 다중 비트 오류

 

7. 순환 중복 검사에서 무엇으로 검사 비트를 만드는가?

a. 나머지 b. 제수 c. d. 피제수

 

8. CRC에서 데이터워드가 111111, 제수가 1010이고 나머지가 110이라면, 수신자에서 코드워드는 무엇인가?

a. 111111011 b. 1010110 c. 111111110 d. 110111111

 

9. CRC에서 데이터워드가 111111이고 제수가 1010이면, 발신자에서 피제수는 무엇인가?

a. 1111110000 b. 111111000 c. 111111 d. 1111111010

 

10. CRC 생성기에서, ____는 코드워드를 생성하기 위해 나눗셈 절차 후에 데이터워드를 추가한다.

a. 0’s b. 1’s c. 나머지 d. 제수

 

11. 만약 오류가 검출되지 않았다면, 검사합의 합과 수신자의 데이터는 _____이다.

a. 0 b. + 0 c. 검사합의 보수 d. 데이터워드의 보수

 

12. CRC에서 송신자의 몫은  _____ . 

a. 수신자에서 피제수가 된다 b. 수신자에서 제수가 된다 c. 나머지가 된다 d. 폐기된다

 

13. CRC 검사기에서 ____

는 데이터워드가 손상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a. 모두 1이거나 모두 0인 문자열 b. 0이 없는 나머지 c. 0의 문자열 d. 정답 없음

 

14. 10비트 코드워드는 단지 4개의 0을 가지고 있다. 이 코드의 다항식 표현은 얼마나 많은가?

a. 4 b. 6 c. 8 d. 정답 없음

 

15. CRC에서 만약 나머지가 단지 3비트라면, 제수는 ___ 비트이다.

a. 3 b. 2 c. 4 d. 정답 없음

 

16. 만약 CRC-8을 사용한다면, 제수는 얼마나 많은 비트로 이루어져 있는가?

a. 9 b. 8 c. 10 d. 정답 없음

 

17. 검사합은 ___ 덧셈을 사용한다.

a. 1의 보수 b. 2의 보수 c. 3의 보수 d. 정답 없음

 

18. 5개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코드워드 사이의 해밍 거리는 적어도 ____이 되어야 한다.

a. 5 b. 6 c. 11 d. 정답 없음

 

19. 5개의 오류를 정정하기 위해, 각 코드워드 사이의 해밍 거리는 적어도  ____ 이 되어야 한다.

a. 5 b. 6 c. 11 d. 정답 없음

 

20. 검사합은 오류를  _____ .

a. 단지 검출할 수 있다 b. 오직 정정할 수 있다 c. 검출과 정정할 수 있다 d. 정답 없음

 

21. 다음 중 1의 보수 연산을 사용하는 오류 검출 기법은 무엇인가?

a. 단순 패리티 검사 b. 2차원 패리티 검사 c. CRC d. 검사합

 

22. 다음 중 데이터 단위 당 한 개의 중복 비트를 사용하는 오류 검출 기법은?

a. 단순 패리티 검사 b. 2차원 패리티 검사 c. CRC d. 검사합

 

23. 순환 중복 검사에서 제수는 CRC 보다 _____  .

a. 크기가 같다 b. 1비트 작다 c. 1비트 크다 d. 정답 없음

 

24. ____ 오류는 데이터 단위의 두 개 이상의 비트가 바뀌는 것이다.

a. 이중 비트 b. 폭주 c. 단일 비트 d. 정답 없음

 

25. 모듈러-2 연산에서는 ___ 은 결과가 같다.

a. 덧셈과 곱셈 b. 덧셈과 나눗셈 c. 덧셈과 뺄셈 d. 정답 없음

 

26. 모듈러-2 연산에서는 ___ 연산을 사용하여 덧셈과 뺄셈을 수행한다.

a. XOR b. OR c. AND d. 정답 없음

 

27. 부호화에서는 메시지를 ___ 라고 불리는 각각 k 비트씩의 블록으로 나눈다.

a. 블록 블록워드 b. 선형 데이터워드 c. 블록 데이터워드 d. 정답 없음

 

28. 각 블록에 r개의 중복 비트를 더하여 길이가 n = k + r 이 되도록 만든다. 그 결과로 얻은 n 비트 블록을 ____라고 부른다.
a.
데이터워드 b. 블록워드 c. 코드워드 d. 정답 없음

 

29. 오류 ___은 ____보다 어렵다.

a. 정정, 검출 b. 검출, 정정 c. 생성, 정정 d. 생성, 검출

 

30. 모듈러-11 연산에서는 ____ 영역의 정수를 사용한다.

a. 1부터 10 b. 1부터 11 c. 0부터 10 d. 정답 없음

 

31. 모듈러-2 연산에서는 ___ 의 정수를 사용한다.

a. 12 b. 02 c. 01 d. 정답 없음

 

32. 모듈러-2 연산에서 11을 더하면 ____ 이 된다.

a. 1 b. 2 c. 0 d. 정답 없음